티스토리 뷰

해외직구를 처음 해보면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내가 주문한 상품이 과세 대상일까, 면세 대상일까?” 입니다.특히, 면세 범위FTA 적용, 품목별 세율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단순 금액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해외직구-통관
과세 vs. 면세 사례

 

이 글에서는 해외직구 시 과세와 면세를 결정짓는 기준을 정리하고, 실제 구매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 목차

  1. 해외직구 통관의 기본 개념
  2. ‘과세’와 ‘면세’ 구분 기준
  3. 관세 부과 기준 (국가별 면세 한도)
  4. 품목별 과세 여부 실제 사례
  5. 자주 묻는 질문 (FAQ)

 

✅ 1. 해외직구 통관의 기본 개념

해외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한국으로 들어올 때 관세청을 통해 통관 절차를 거칩니다.이때, 상품 가치와 품목에 따라 세금(관세 + 부가세 + 개별소비세 등)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개인이 직접 사용 목적으로 구매 → 개인통관
  • 사업자가 수입하여 판매 목적 → 상업통관

 

해외직구-통관
통관 기본개념

해외직구는 대부분 개인통관 대상이지만, 반복 주문, 고가 제품 등은 상업통관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 2. ‘과세’와 ‘면세’ 구분 기준

✔ 기준금액

  • 미국발 직구: $200까지 면세
  • 그 외 국가 직구: $150까지 면세

※ 배송비 포함 금액 기준이며, 제품 가격 + 해외 배송비 + 보험료 모두 합산됩니다.

 

 

과세-면세-구분
과세와 면세 구분

단, 일부 **과세 품목(주류,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은 금액에 상관없이 과세됩니다.

 

✅ 3. 관세 부과 기준 (국가별 면세 한도 정리)

구분 면세 한도 비고
미국발 직구 $200 이하 한미 FTA 적용
기타 국가 $150 이하 FTA 미적용 국가 포함
주류, 담배 전액 과세 면세 대상 아님
의약품·건기식 6병 또는 1.8L 이하 수량 초과 시 과세
화장품 1종당 2개 이하 초과 시 과세 가능성 높음

 

 

국가별-관세기준
관세 부과기준

🔎 실질 구매금액 기준이 아닌 ‘과세가격’ 기준이므로 환율 적용 시 주의 필요

 

✅ 4. 품목별 과세 여부 실제 사례

① $130 상당의 의류 (중국발)

  • ✅ 면세 통관 가능
  • 총 결제금액 $140였지만, 배송비 제외한 상품금액이 $130 → 통관 OK

② $180 상당의 화장품 3종 4개 (미국발)

  • ❌ 과세 대상
  • 미국발이므로 $200까지 면세지만, 화장품 1종당 2개 이하 제한 초과 → 과세

③ 건강기능식품 6병 ($100, 미국발)

  • ✅ 면세
  • 한미 FTA 적용 + 건강기능식품 6병 이내 → 통관 OK

 

품목별-과세여부-사례
품목별 과세 사례

④ 건강기능식품 8병 ($120, 미국발)

  • ❌ 과세
  • 수량 제한 초과 → 건강기능식품 6병 제한 적용 → 과세

⑤ 명품가방 $250 (프랑스발)

  • ❌ 과세 대상
  • 유럽발(FTA 있음)이라도 $150 초과 → 관세 + 부가세 부과

⑥ 전자기기 $145 (일본발)

  • ✅ 면세
  • $150 이하 + 일반 품목 → 통관 OK

 

✅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미국발은 $200까지 면세인가요?

A1.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면세 기준이 $200까지 상향 적용됩니다.

Q2. 면세 범위인데도 세금이 나왔어요. 왜 그런가요?

A2. 상품가 + 배송비가 $150/$200 초과했거나, 수량 제한을 넘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또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과세 품목일 수 있습니다.

Q3. 품목이 다양하게 섞여 있으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A3. 총 결제금액 기준으로 종합 과세 여부를 판단하며, 품목마다 과세기준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Q4. 과세된 금액이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은요?

A4. 관세청 관세 계산기나 ‘관세청 유니패스’에서 예상세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Q5. 면세 범위인데도 배송대행지에서 세금 내라고 해요. 이유가 뭔가요?

A5. 일부 업체는 안전통관을 위해 자의적으로 세금을 징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럴 땐 실제 과세 대상인지 관세청에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FAQ-통관
FAQ

✅ 결론

해외직구 시 단순히 $150 이하라서 면세일 거라는 오해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품목별 제한, 수량 규정, 발송국가, 그리고 FTA 적용 여부까지 꼼꼼히 따져야 정확한 통관 판단이 가능합니다.

💡 관세청 공식 앱 ‘모바일 관세 계산기’ 활용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공지사항